반응형 맛있는 것들/식재료70 [위키] 콘킬리에(Conchiglie)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콘킬리에(Conchiglie)? 콘킬리에는 숏파스타의 일종으로 조개 껍데기 모양 파스타이다. 콘킬리에는 조개라는 이탈리아어 "conchiglia"에서 유래했다. 길이는 20~30mm 정도이며 너비도 20~30mm 정도이다. 콘킬리에의 역사 캄파넬레는 남부 이탈리아 캄파니아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다. 콘킬리에 요리 콘킬리에는 독특하게 생겼다. 거친 껍질 모양은 소스를 잘 붙잡으며, 껍질 안쪽은.. 2023. 3. 12. [위키] 제멜리(Gemelli)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제멜리(Gemelli)? 제멜리는 숏파스타의 일종으로 나선형 파스타이다. 쌍둥이라는 이탈리아어 "Gemelli" 에서 기인했지만, 두 줄이 엮여있는 것은 아니다. 길이는 25~40mm 정도이며 두께는 6~8mm 정도이다. 제멜리의 역사 캄파넬레는 남부 이탈리아 캄파니아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지만 대략적으로 20세기 초에 경에 만들어진것으로 보인다. 제멜리 요리 나선형으로 꼬여있어 소스를 잘 .. 2023. 3. 12. [위키] 카바타피(Cavatappi)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카바타피(Cavatappi)? 카바타피는 숏파스타의 일종으로 나선형 튜브모양 파스타이다. 카바타피는 빙빙도는 나선형 모양이라는 이탈리아어 "cava tappi" 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아모로시, 스피랄리, 수키에티 등으로도 불리며, 미국에서는 토르틸리오니 라고 불린다. 길이는 25~40mm 정도이며 두께는 12mm 정도이다. 카바타피의 역사 캄파넬레는 남부 이탈리아 캄파니아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2023. 3. 12. [위키] 캄파넬레(Campanelle)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캄파넬레(Campanelle)? 캄파넬레는 숏파스타의 일종으로 주름진 원뿔 모양이다. 캄파넬레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종이라는 의미이다. 백합의 모양과도 닮았다고 하여 이탈리아어로 백합인 질리(Gigli)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길이는 25mm, 너비는 12mm 정도이다. 캄파넬레의 역사 캄파넬레는 남부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이 절정에 달했던 르네상스 시대인.. 2023. 3. 12. [위키] 다양한 파스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파스타(Pasta)란? 대표적인 이탈리아 요리이다. 듀럼 밀가루 세몰리니에 물을 섞거나 달걀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다. 반죽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만들어진다. 형태와 재료에 따라 600종이 넘는다고 하지만 더 많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스파게티라는 이름으로 파스타를 부르는 경향이 있다. [위키] 듀럼밀? 세몰라? 이탈리아에서 파스타를 만드는 밀가루는 '세몰라(semola)'이다. 세몰라.. 2023. 3. 12. [위키] 파파르델레(pappardelle)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파파르델레(pappardelle)? 파파르델레는 롱파스타의 일종으로 크고 넓은 페투치니 모양이다. 파파르펠레는 이탈리아어 게걸스럽게 먹다라는 의미인 "pappare"에서 유래했다. 파파르델레는 두께가 3cm 정도 된다. 얇게 펼친 반죽에 덧가루를 뿌리고 말아 준 뒤, 3cm 정도로 자른다. 파파르델레의 역사 파파르텔레는 중부 이탈리아인 투스카니 지방에서 시작된 형태이다. 파파르델레 요리 이탈리아 남부의 깔라브리아식 파파르델레가 유명하.. 2023. 3. 12. [위키] 오르조(Orzo)/리조니(Risoni)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오르조(Orzo)/리조니(Risoni)? 오르조 혹은 리조니는 숏파스타의 일종이다. 오르조는 라틴어로 보리를 뜻하는 "hordeum"에서 유래했다. 리조니는 큰 쌀을 의미한다. 원래는 보리로 만들었지만 요즘에는 박력분으로 만든다. 오르조/리조니의 역사 오르조는 지중해 사람들이 보리를 사용하여 파스타를 만들었던 것에서 기원을 두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금과 같은 모양으로 완성되었다. 오르조/리조니 요리 오르조는 수프와 스튜에 자.. 2023. 3. 12. [위키] 칸넬로니(Cannelloni)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칸넬로니(Cannelloni)? 칸넬로니는 속을 채워서 만드는 만두형 파스타이다. 칸넬로의 이름은 긴 갈대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cannellone"에서 유래하였다. ※ 속을 채워서 만드는 만두형 파스타에는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토르텔리니, 카펠레티, 칸넬로니 등이 있다. 칸넬로니의 역사 칸넬로니가 어디에서 기인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북부 이탈리아의 에밀리아로마냐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칸넬로니가 어울리는 파스타 요리.. 2023. 3. 12. [위키] 카펠레티(Cappelletti)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스타의 종류' 스파게티 펜네 링귀니 파르펠레 리가토니 로티니 푸실리 마카로니 엔젤헤어 지티 부카티니 베르미첼리 토르텔리니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카펠레티 칸넬로니 오르조 리조니 파파르델레 캄파넬레 카바타피 제멜리 콘킬리에 트로피에 가르가넬리 마팔데 스트로차프레티 탈리아텔레 뇨끼 페투치니 카펠레티(Cappelletti)? 카펠레티는 속을 채워서 만드는 만두형 파스타이다. 판소티의 이름은 모자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cappello"에서 유래하였다. 얇게 민 파스타를 네모나게 잘라 속을 넣고 삼각형으로 빚은 후 양 모서리를 말아 접어 모자 형태로 만든 파스타이다. 카펠레티 파스타는 새해 음식으로 사용된다. ※ 속을 채워서 만드는 만두형 파스타에는 라비올리, 판소티, 토르텔리, 토르텔리니, 카펠레티, 칸넬로니 등이 있다. .. 2023. 3. 12.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