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맛있는 것들/식재료70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7. 갈비(Rib)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갈비(rib)는 소의 갈비뼈와 그 주변부 살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으뜸으로 친다. 예전에는 갈비 하면 소였는데, 돼지갈비, 닭갈비가 많이 유행하면서, 갈비의 대명사로서의 위치가 많이 위태하다. 그래도 정말 맛있다. LA갈비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는 뼈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자른 형태의 갈비를 말한다. 미국 LA지방에서는 갈비를 원래 이러한 형태로 썰었었는데, 교포 1세대들이 이러한 갈비를 한국식으로 양념해서 먹게되면서 LA갈비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2. 요리 소갈비는 생갈비, 양념갈비로 구워먹기도 하지만, 갈비찜, 갈비탕으로도 끓여먹어도 맛있다. 특히 찜이나 탕은 오래 끓이면 뼈가 쏙 빠져나오고, 살이 매우 부드러워서 좋다. 갈비로..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6. 앞다리(Blade & Cold)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앞다리(Blade & Cold)살은 소의 앞 다리 사이에 있는 근육으로, 운동량이 많아 붉고 질기다. 2. 요리 질기기 때문에 오래 끓이는 탕, 국, 전골, 불고기 등에 적합하다.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위키피디아, 두산위키,농림부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5. 우둔(Top round)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우둔(Top round)는 엉덩이살이다. 지방이 매우 적은 살코기가 많은 부위이다. 덩어리가 크고 마블링이 거의 없다. 마블링이 많은 등심이나 부드러운 안심 등에 비해서 싸다. 2. 요리 우둔살은 육회, 육사시미, 뭉티기, 생고기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도축장에서 도축하자마자 등급이 매겨지기도 전에 출하가 가능한 부위라 한다. 익혀서 먹어도 심하게 질기지 않은 편이다.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위키피디아 두산위키 농림부 유튜브 '육튜브'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4. 안심(Tenderloin)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안심(Tenderloin)은 등뼈 바로 아래에 붙어있는 기둥모양 근육 덩어리이다. 양도 매우 적고 식감이 좋아서 귀하다. 마블링이 없어도 매우 부드럽다. 뼈 안쪽에 있어 운동량이 적어 근육이 부드럽다.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좋아한다. 지방이 고기에 관여하는 정도가 적기 때문에 투쁠의 품질이 필요가 없다. 오히려 들판에서 키운 소의 안심이 더 깊은 맛을 내기도 한다. 2. 요리 안심도 스테이크로 먹기에 좋다. 등심과 달리 레스팅과정에서 온도가 많이 오른다. 그래서 방심하면 쉽게 더 많이 익혀진다. 웰던으로 구워도 질기지 않다! 이탈리아의 소고기 카르파쵸도 안심을 이용한다.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3. 채끝(Sirloin)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채끝살(Sirloin)은 소를 몰때 채찍의 끝 부분이 닿는 부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꽃등심과 아랫등심을 구성하는 알등심살에서 분화된 부위로 쇼트로인(Short loin)의 일부다. 한 마리당 8kg정도 나와 귀한 부위이다. 티본은 채끝과 안심이 붙어 있는 것이다. 영어로 서로인(Sirloin)이라고 부른다. 서로인에 대한 일화가 있는데, 영국의 왕이 이 부분의 등심을 너무 좋아하여 기사작위를 내려 sir 가 붙어 sirloin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2. 요리 묵직하고 담백해 스테이크로 많이 사용된다. 마블링이 적은 편이어서 미디엄레어 이하로 굽는게 좋다. 오래 구우면 질겨진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2. 등심(Loin)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등심(Loin)은 소의 갈비뼈 바깥에 위치한 살을 이르는 말이다. 곡식을 먹여 기른 소는 등심에 지방이 많이 축척되는데, 이를 서양에서는 대리석 같다고 하여 마블드 미트라고 부른다. 이러한 고기는 미국과 일본, 한국에서 인기가 많다. 한국에서는 마블링이 좋다고 표현한다. 소고기 부위 중에서도 비싼 편에 속해서 많이 먹기 부담스럽다. 2. 요리 맛이 진하고 부드러워 구워먹기에 좋다. 지방질이 많은 경우에 구우면 지방이 녹아나와 식감과 풍미가 매우 좋다. 너무 많이 굽게 되면 지방이 다 빠져나가 퍽퍽해진다. 미디움 이하로 굽는게 좋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불고기용 고기로 많이 사용하였다. 정확히 구분하자면 윗등심은 한국식으로 불고기 등에 잘.. 2021. 9. 26. 쇠고기 부위 별 특징을 알아 보자 1. 목심(Chuck roll) 목심 등심 채끝 안심 우둔 앞다리 갈비 설도 양지 사태 1. 개요 목심(Chuck roll)은 소의 목덜미 위쪽 부위로, 등심 부위 앞 제1목뼈와 제7목뼈 사이에 있는 7개 이상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운동을 많이 하는 부위로 지방이 적고 결합조직이 많아 육질이 질기고 젤라틴이 풍부하다. 2. 요리 목심 안에서도 부위에 따라 고기의 질이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요리의 용도를 달리해서 사용해야 한다. 등심과 이어진 부분은 지방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구이용으로도 쓸 수 있지만, 상부의 덧장은 많이 질기기 때문에 곰국용 고기로 쓸만하다. 스테이크, 구이, 불고기, 다짐육 등에 쓰인다. 맛을 내는 성분이 많아 국, 전골 등 중불에서 오랫동안 삶아 국물을 내는 요리에 이용하기도 한다. 목심 등심 채끝 안심.. 2021. 9. 26.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