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것들/역사

[역사] 부마항쟁과 박정희

by 궁금한 것 가득한 넓은 세상 2021. 10. 16.
반응형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의 학생들이 박정희의 독재에 저항하여 "유신철폐"를 외쳤다. 이로부터 10일 지난 10월 26일, 박정희는 궁정동 만찬석상에서 측근이었던 김재규의 총탄에 맞아 죽었고, 18년간 이어지던 독재의 막을 내렸다.

 

 부마항쟁과 박정희의 대처

부마항쟁이 발발하자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가 부산으로 급히 내려갔다. 부산과 마산의 상황을 확인하고 보고하기 위해서였다. 김재규는 현황을 조사하고 바로 청와대로 돌아와 대통령에게 보고를 했다. 여기에는 차지철 경호실장과 김계원 비서실장이 동석했다. 김재규의 보고는 다음과 같았다.

 

제가 내려가기 전까지는 남민전이나 학생이 주축이 된 데모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현지에서 보니까 그게 아닙니다. 160명을 연행했는데 16명이 학생이고 나머지는 다 일반 시민입니다. 그리고 데모 양상을 보니까 데모하는 사람들도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에게 주먹밥을 주고 또 사이다나 콜라를 갖다 주고 경찰에 밀리면 자기 집에 숨겨 주고 하는 것이 데모하는 사람과 시민들이 완전히 의기투합한 사태입니다. 주로 그 사람들의 구호를 보니까, 체제에 대한 반대, 조세에 대한 저항, 정부에 대한 불신 이런 것이 작용해서, 경찰서 11개를 불질러 버리고, 경찰 차량을 10여 대 파괴하고 불지르고, 이런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현지를 시찰한 뒤 당시 상황에 대해 내린 결론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3권, 258-259쪽]

 

 

보고를 들은 박정희는 “앞으로 부산 같은 사태가 생기면 이제는 내가 직접 발포 명령을 내리겠다. 자유당 때는 최인규나 곽영주가 발포 명령을 하여 사형을 당하였지만 내가 직접 발포 명령을 하면 대통령인 나를 누가 사형시키겠느냐.  라며 역정을 내었다. 

 

그러자 차지철이 “캄보디아에서는 300만 명 정도를 죽이고도 까딱없었는데 우리도 데모 대원 100만~200만 명 정도를 죽인다고 까딱 있겠습니까” 라고 말하며 거들었다.

 

 부마항쟁으로 인한 지도부 갈등

김재규는 부마 항쟁에 대해 학생은 소수이고 대부분 민간인이어서 '민란'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이는 체제저항과 조세저항에 대한 것으로 5대도시 및 전국 도처에까지 확산할 것으로 보았다. 반면 박정희는 '신민당의 조종'에 무지한 몇몇 시민들의 지각없는 행동으로 매도하였다. 여기에 차지철이 동참하여 '자국민 학살'의 뜻을 내비쳤다.

 

결과적으로 부마항쟁은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부산은 10월 18일에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었고, 마산도 18일부터 군부대가 투입되어 시민들을 닥치는대로 검거하였다. 

 

 김재규의 박정희 암살

부마항쟁이 발발하고 10일이 지난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궁정동 안가에서 연회를 벌이는 도중에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가슴과 머리에 총을 맞고 사망하였다. 김재규는 민주화에 대한 열망으로 독재자 박정희를 처단하였다고 변론하였지만, 1980년 5월 24일 사형이 집행되었다.

김재규 ⓒ 퍼블릭 도메인

 

 

 참고 자료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다시 쓰는 부마항쟁 보고서 , 국제신문

박정희 죽기 10일 전, 김재규가 본 충격적인 광경, 2020.10.16. 오마이뉴스

 

 관련된 글

 

[역사] 부마민주항쟁이란?!

1979년 10월 16일 부산과 마산에서 대학생들이 들고 일어났다.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박정희의 독재에 맞서 "유신철폐"를 외치며 시위를 시작하였고, 이는 일반시민들에게 확산되었다. 박정희는 부

avaloka.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