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궁금한 것들/교양23

[위키] 마야부인(摩耶夫人)이란?! 마야부인(摩耶夫人, Queen Maya)은 석가족 호족의 딸로 가비라바소도의 성주인 정반왕의 왕비가 되어 싯다르타를 낳았다. 그녀의 아버지는 룸비니 동산의 인근인 데바하다(Devahada)의 왕이었다. 현지의 풍습에 따라 마야부인은 출산을 위해 고향으로 향하는 길인 룸비니 동산에서 싯다르타를 낳은 것이다. 마야부인은 석가가 태어난 후 7일 뒤에 타계했다고 한다. 마야부인은 죽은 후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주로 석가모니를 임신한 태몽을 꾸는 장면(도솔래의상)이나 룸비니 동산에서 오른팔을 무우수 나무의 나뭇가지에 오른 팔을 올리고, 겨드랑이 아래에서 석가모니가 태어나는 장면(비람강생상)으로 많이 묘사된다. 두산백과, 나무위키, 위키피디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도솔래의상 1. 도솔.. 2023. 5. 25.
[위키] 도솔천(兜率天, Tuṣita)이란?! 도솔천(兜率天, Tuṣita)은 불교에서 네 번째 하늘나라로, 석가모니가 남섬부주(인간세계)에 내려오기 전에 머물럿던 곳이다. 미륵보살이 지상에 내려올 날을 기다리고 머무르고 있다. 덕을 쌓고 불심이 깊은 사람이 죽어서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부처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타계후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도솔천은 범어인 투시타를 한역한 것으로, 의역을 하게되면 지족천(知足天)이다. 이 곳에 사는 자들은 오욕(五欲)을 만족한다고 한다. 욕계 6천 중 네 번째 하늘이다. 세 번째 하늘인 야마천에서 16만 유순 위에 위치한다. 도솔천은 보관, 칠보, 광명, 연화로 장엄되어 있고, 십선과 사홍서원을 설하는 음악이 흘러나온다고 한다. 도솔천은 내원과 외원으로 나뉘는데, 외원에는 천인들이, .. 2023. 5. 25.
[위키] 우박의 원리?! 우박은 왜 내리는가?! 우박이란?! 우박은 5mm 이상의 얼음덩어리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우박을 영어로 hail이라고 한다. 우박이 떨어지는 이유?! 원래 하늘의 구름에 있는 수분은 온도가 낮아 얼음 상태로 있다. 그 얼음이 주변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점점 커지는데, 무게가 너무 많아지면 떨어진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경우 떨어지면서 녹아서 비가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온도가 높으면 눈이 내린다. 하지만, 아주 특별한 경우가 있다. 빙정이 상승기류를 만나 떨어지지 못하고 점점 커지게 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 우박이 된다. 왜 겨울이 아닌 계절에 우박?! 우박은 주로 늦봄이나 초여름, 가을에 자주 내린다. 왜냐하면 낮은 온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승기류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겨울이 아닌 계절에 우박이 내리는 것이다. .. 2023. 4. 22.
[Wiki] Hire? Rosu? Hire-katsu? Rosu-katsu? If you go to a restaurant specializing in tonkatsu, there are many cases where Hirekatsu and Rothkatsu are the representative menu items. So, what are Hirekatsu and Rothkatsu? These words seems not Japanese, but they are used in Japan. "Hire" means tenderloin in Japanese. The etymology of Hire is said to be derived from the French word filet, but in Japan it is said Hire. On the other hand, "Ros.. 2023. 3. 25.
마제소바(まぜそば)란 무엇인가?! 최근 한국에서 마제소바(まぜそば)가 유행이다. 하지만 오래 전부터 라멘을 좋아해온 사람들에게 마제소바를 라멘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구석이 있다. 국물이 없기 때문이다. 츠케멘도 껄끄러운 구석이 있는데, 마제소바는 한 수 더 나갔다. 그도 그럴 것이 마제소바가 처음 등장 한 것이 2008년이다.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마제소바는 타이완민치라는 고추가루, 마늘, 간장으로 간을 한 다짐육을, 국물 없는 두꺼운 면 위에 올려 먹는 라멘이다. 타이완 민치 이외에 부추, 파, 가츠오부시가루, 계란노른자 등을 올린다. 마제소바가 이렇게 만들어졌기에 타이완 마제소바라고도 불린다. [마제소바 맛집 추천] [서촌 맛집] 칸다 소바 서촌에 마제소바로 유명한 칸다 소바다. 입구에 도쿄 칸다 라멘 .. 2021. 9. 27.
[불교] 과거칠불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금 절에서 가장 많이 모셔진 석가모니불을 포함하여 그 앞의 여섯 부처를 과거칠불이라 부른다. 불교에서는 과거에 천불, 현생에 천불, 미래서 천불, 모두 합쳐 삼천의 부처님이 있다고 말한다. 사실 이 천이나 삼천이라는 말은 정확히 1,000 또는 3,000이라는 의미 보다 많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렇게 많은 부처들 중에서 일곱명의 부처를 꼽아 과거칠불이라고 부른다. 순서대로 보자면 다음과 같다. 1. 비파시불(Vipassī, 毘婆尸佛) 2. 시기불(Sikhī, 尸棄佛) 3. 비사부불(Vessabhū, 毘舎浮佛) 4. 구류손불(Kakusandha, 倶留孫佛) 5. 구나함모니불(Koṇāgamana, 倶那含牟尼佛) 6. 가섭불(Kasyapa, 迦葉佛) 7. 석가모니불(Gautama) 이 중에서 앞의 세 부처는.. 2021. 9. 26.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8. 쌍림열반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8.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열반에 든 부처님의 모습과 슬퍼하는 제자들의 모습이다. 초전법문 이후 21일 동안 일곱 곳에서 아홉차례 화엄경을 설했다. 하지만 중생들은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여, 중생들의 이해 능력에 맞게 대기설법(對機說法)을 하였다. 그리고 아함경을 8년, 방등경을 8년, 반야경을 21년, 법화경을 8년, 총 45년동안 법문을 설하고 열반에 들었다. 열반을 앞둔 부처는 "나는 이미 모든 법을 설했고, 비밀은 없으며, 간신히 움직이는 낡은 수레와 갔다.. 2021. 7. 27.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7. 녹원전법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7. 녹원전법상(鹿野轉法相) 부처님은 깨닫고 난 뒤 녹야원(사르나트)에처 처음으로 설법을 했다. 이후, 대중과 제자들을 위해서 설법을 이어나갔다.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는 부처님은 함께 수행했던 다섯 비구에게 처음으로 설법을 하기로 정했다. 이들에게 설법을 하기 위해 수백km떨어진 녹야원으로 향했다. 가는 도중 두 명의 상인 '발타라사나'와 '발타라리'를 만나는데, 이들이 최초의 귀의자들이다. 녹야원에 도착한 부처는 처음으로 설법을 했다. (초전법륜), 다섯 .. 2021. 7. 27.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6. 수하항마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6.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마왕 파순은 깨달음을 눈 앞에 둔 싯다르타를 방해하지만, 붓다는 마왕을 물리친다. 마왕은 싯다르타의 깨달음을 방해하고자 아름다운 세 딸 '욕염', '능열인', '가애락'을 보낸다. 세 딸은 교태를 부렸지만 결코 현혹되지 않았다. 오히려 싯다르타는 세 딸을 늙고 추한 모습으로 바꿔버렸다. 마왕은 직접 나선다. 세속의 권력을 주겠다고 하였으나, 통하지 않았다. 결국 코끼리, 말이 끄는 군대를 앞세워 굴복시키고자 하였다. 싯다르타는 오른손으로.. 2021.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