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드라사4 [여행위키] 무하마드 아민 칸 마드라사(Mohammad Amin Khan Madrasa), 우즈베키스탄 히바 무하마드 아민 칸 마드라사(Mohammad Amin Khan Madrasa) 이찬칼라 내부 서쪽편에 위치한 대형 마드라사이다. `125개의 학생 기숙사, 최대 250명의 학생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었다. 무하마드 아민 칸은 1851년 앞에 있는 칼타 미나렛과 함께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건축의 형태는 티무르 시기의 마드라사 건축과 유사하다. 2층으로 된 건물로 둘러싸인 안뜰이 있고, 네 방향의 중앙에는 이완이 있다. 부하라의 쿠켈다시 마드라사를 본따 만든 것으로 보인다. 마드라사 정면의 피스타크는 화려한 타일로 장식되어 있는데, 야간에 라이트업때 보면 특히 화려하다. 마드라사는 지금 호텔로 개조되어 활용되고 있다. 호텔을 이용하지 않아도 안뜰을 살펴볼 수 있다. [세계여행/우즈벡] 히바(Khiva, Xiv.. 2023. 5. 27. [여행위키] 레기스탄(Registan),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레기스탄(Registan) 레기스탄은 사마르칸트에 위치한 역사 건물군으로 티무르 시대를 대표하는 세 마드라사가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사마르칸트의 상징이자 우즈베키스탄의 상징이기도 하여, 우즈벡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대부분은 이 곳을 보이기위 사마르칸트를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레기스탄이란 페르시아어로 '모래 땅'이라는 뜻으로 사막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공공 광장으로, 그리고 시장으로 사용되었는데, 마드라사가 들어서면서 점차 교육의 중심지로 용도가 바뀌었다. 세 마르드라사는 건축된 순서로 서쪽의 울르그벡 마드라사, 동쪽의 셰르도르 마드라사, 북쪽의 틸랴콜리 마드라사가 있다. 울르그벡 마드라사(1417-1420) 티무르의 손자이자 과학자 왕인 울르그벡이 건립한 마드라사이다. 세 마드라사 중 가장 이른 15세.. 2023. 5. 21. [세계위키] 이슬람 건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모스크 마드라사 영묘 미나렛 돔 미흐라브 무카르나스 이완 피스타크 캘리그라피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람 건축 요소들 이슬람 건축은 이슬람이 퍼져있는 영역과 시간만큼 방대하고 다양하다. 이에 이슬람 건축을 한 마디로 정의 하는 것은 다소 문제의 여지가 있다. 이에 여기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 위치한 건축물을 중심으로 이슬람 건축의 요소들을 살펴보려한다. 1. 모스크(Mosque): 무슬림들의 기도를 위한 장소이다. 건물 내부는 공개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많은 참배자들이 동시에 기도를 하기 위함이다. 성지 메카 방향에는 미흐라브가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서쪽을 향해서 만들어진다. 금요일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동시에 기도를 하는는 거대한 모스크가 있다. 그런 기능을 가진 모스크를 회중모스크 혹은 금요일 모.. 2023. 5. 15. [여행위키] 우르그 마드라사(Ulugh Beg madrasa),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티무르의 손자이자 천문학자 왕으로 유명한 우르그벡이 만든 마드라사이다. 우르그벡은 사마르칸트와 기즈두반 그리고 부하라에 3개의 마드라사를 지었다. 마드라사가 지어졌던 1420년 부하라는 칭기즈칸으로부터 파괴를 겪고 복원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기에, 우르그벡 마드라사의 건설은 부하라 재건의 상징과도 같았다. 우르그벡 마드라사는 일반적인 마드라사와 같이 중정과 그리고 2층 방들로 둘러싸인 사각형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완은 북쪽과 남쪽으로 두 개소만 있다. 30개소 이상의 학생 기숙사가 있다. 한 방에 두 명이 사용했으니 마드라사에는 100명 이하의 학생을 수용했을 듯 하다. 입구의 한 편에는 캘리그라피 박물관이 만들어져 있다. 무하마드가 사람과 동물을 그리지 못하게 하여 글자와 문양을 이용한 예술.. 2023. 5.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