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궁금한 것들181 [위키] 라훌라(Rahula, 羅睺羅)란?! 붓다의 아들 라훌라(羅睺羅, Rāhula) 싯다르타가 출가하기 얼마 전 아들이 태어났다. 부처는 출가를 생각하고 있었기에, 출가를 위한 또 하나의 방해거리가가 생겼다고 생각하여 라훌라(장애)라고 외쳤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의 이름이 라훌라가 되었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고 고국에 돌아왔을 때, 어머니 야쇼다라는 아버지에게 가서 왕위계승의 허가를 받아오라 한다. 이에 라훌라는 붓다에게 왕위를 요청하였지만, 붓다는 라훌라에게 출가를 권유하였고, 라훌라는 그 길로 출가에 나섰다. 결국 싯다르타의 사촌 마하나마가 왕위를 이었다고 한다. 라훌라의 수행은 쉽지 않았지만, 열심히 하였고, 결국 아라한이 되었다.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4. 유성출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 2023. 5. 27. [위키] 칸타카(Kanthaka)와 찬타카(Chantaka)란?! 싯다르타의 말과 마부에 대해서 칸타카(Kanthaka)와 찬타카(Chantaka) 칸타카는 고타마 싯다르타가 즐겨 탔던 애마로, 순백의 백마였다고 한다. 그리고 칸타카를 몰았던 마부는 찬타카 혹은 찬나(Channa)라고 한다. 싯다르타가 가비라성(카필라바스투) 밖에서 늙음, 병듬, 죽음과 수행자를 보았을 때에도 마차를 끌었다. 또한 야밤에 싯다르타가 출타할 때에도 칸타카를 타고 나섰다. 싯다르타를 아노마 강 가에 내려주고 해여졌는데, 칸타카는 슬픔에 죽음을 맞이하지만, 다시 태어나 붓다의 법문에 참석해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위키피디아, 옥스퍼드 백과사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3. 사문유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 2023. 5. 27. [위키] 야쇼다라(Yashodara) 공주?!, 붓다의 아내 야쇼다라(Yasodharā) 고타마 싯다르타의 아내이다. 출신에 대한 여러 설이 있지만 훌륭한 집안의 딸이었다고 한다. 또한 오천축 제일의 미녀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웠다고 한다. 싯다르타가 17살, 야쇼다라가 10살일 때 둘은 혼인을 했다. 불본행집경에 따르면, 야쇼다라는 전생에 싯다르타의 전생 수메다 브라만을 만났고, 꽃을 구하던 수메다 브라만에게 다음 생에 자신과 결혼해 주면 자신이 가지고 있던 꽃을 팔겠다고 약속했다고 한다. 싯다르타가 29살이 되던 해, 둘 사이에서 라훌라 라는 아들이 태어났다. 그럼에도 싯다르타는 라훌라가 태어난 뒤인 7일차에 출가를 감행했다. 아들인 라훌라의 출산에 대한 이야기는 출가 후 고행을 했던 6년간 잉태를 한 뒤에 7년차에 낳았다는 설이 있는데, 이 설에 따르면 야쇼.. 2023. 5. 26. [위키] 룸비니(Lumbini)란?!, 붓다가 태어난 곳 룸비니(Lumbini)는 고타마 싯다르타가 태어난 곳이다. 싯다르타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출산을 위해 고향인 데바하다를 향하던 중, 룸비니 동산의 무우수 나무에서 출산을 했다. 네팔의 룸비니주에 위치한다. 1896년 룸비니에서 아쇼카왕이 불교 성지 룸비니를 방문한 기념으로 설치한 기둥이 발견되어, 이 곳이 불교성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지금은 불교 성지로 많은 사람들이 찾아, 유명한 관광지로 성장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2. 비람강생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 avaloka.tistory.com 2023. 5. 25. [위키] 정반왕(淨飯王, Śuddhodana)이란?! 붓다의 아버지 정반왕(淨飯王, 수도다나왕, Śuddhodana) 훗날 부처가 되는 고타마 싯다르타의 아버지이다. 샤키야 혹은 석가국의 왕(혹은 지도자)으로 수도인 카필라바스투(가비라성, Kapilavastu)에서 살았다. 인근 도시인 데바하다(Devahada)의 공주, 마야부인과 결혼했지만 오랫동안 자식을 얻지 못했다. 결혼한지 20년 뒤 어렵게 아들 고타마 싯다르타를 얻었다. 싯다르타가 출가를 하려는 마음을 가지자, 아들을 사랑하는 마음에 출가를 하지 못하도록 여러가지 방법을 썼지만 결국 막지 못하였다. 싯다르타가 깨닳음을 얻은 뒤, 불교에 귀의하였다. 위키피디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4. 유성출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 2023. 5. 25. [위키] 마야부인(摩耶夫人)이란?! 마야부인(摩耶夫人, Queen Maya)은 석가족 호족의 딸로 가비라바소도의 성주인 정반왕의 왕비가 되어 싯다르타를 낳았다. 그녀의 아버지는 룸비니 동산의 인근인 데바하다(Devahada)의 왕이었다. 현지의 풍습에 따라 마야부인은 출산을 위해 고향으로 향하는 길인 룸비니 동산에서 싯다르타를 낳은 것이다. 마야부인은 석가가 태어난 후 7일 뒤에 타계했다고 한다. 마야부인은 죽은 후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주로 석가모니를 임신한 태몽을 꾸는 장면(도솔래의상)이나 룸비니 동산에서 오른팔을 무우수 나무의 나뭇가지에 오른 팔을 올리고, 겨드랑이 아래에서 석가모니가 태어나는 장면(비람강생상)으로 많이 묘사된다. 두산백과, 나무위키, 위키피디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도솔래의상 1. 도솔.. 2023. 5. 25. [위키] 도솔천(兜率天, Tuṣita)이란?! 도솔천(兜率天, Tuṣita)은 불교에서 네 번째 하늘나라로, 석가모니가 남섬부주(인간세계)에 내려오기 전에 머물럿던 곳이다. 미륵보살이 지상에 내려올 날을 기다리고 머무르고 있다. 덕을 쌓고 불심이 깊은 사람이 죽어서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부처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타계후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도솔천은 범어인 투시타를 한역한 것으로, 의역을 하게되면 지족천(知足天)이다. 이 곳에 사는 자들은 오욕(五欲)을 만족한다고 한다. 욕계 6천 중 네 번째 하늘이다. 세 번째 하늘인 야마천에서 16만 유순 위에 위치한다. 도솔천은 보관, 칠보, 광명, 연화로 장엄되어 있고, 십선과 사홍서원을 설하는 음악이 흘러나온다고 한다. 도솔천은 내원과 외원으로 나뉘는데, 외원에는 천인들이, .. 2023. 5. 25. [위키] 모스크(Mosque), 이슬람 건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모스크(Mosque) 이슬람 종교 건축의 대명사로, 돔과 미나렛이라고 부르는 첨탑이 특징적이다. 모스크의 용도는 무슬림들의 기도를 위한 장소이다. 건물 내부는 공개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많은 참배자들이 동시에 기도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특징이 모스크 안에는 씻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참배객들은 손과 발 그리고 이마를 씻는 일종의 세정의식을 한 뒤에 모스크로 들어가게 된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돔을 만들고 벽이 없는 기둥으로 넓은 공간을 만들기도 한다. 우상을 숭배하지 말라고 한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내부에는 성상이나 조각등이 없이, 기하학적 문양 등으로 장식된다. 성지 메카 방향에는 미흐라브가 있다. 미흐라브 방향으로 기도를 한다. 또한 미흐라브 옆에는 이맘의 기도가 이루어지는 장소인 .. 2023. 5. 22. [위키] 피스타크(Pishtaq), 이슬람 건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피스타크(Pishtaq) 건물로 안쪽으로 들어가는 거대한 입구의 사각형 프레임을 피스타크(Pishtaq)라고 부른다. 보통 피스타크 안쪽은 아치형 공간이 있고, 그 안쪽으로 난 문을 통해서 안뜰과 연결되어 있다. 통과할 수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완이라고 부른다. 피스타크는 전체 건물보다 더 크고 화려하게 만들어진다. 샤크리스얍즈의 아크사라이의 피스타크는 현존하는 부분의 높이가 38m인데, 원래 70m에 달했을 것으로 말해진다. 폭은 50m 안쪽의 공간은 22m이다. 피스타크의 정면 벽면은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 캘리그라피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된다. 부하라의 압둘라지즈칸 마드라사의 피스타크는 무카르나스 장식이 특히 아름답다. [세계위키] 이슬람 건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람 건축 요소들.. 2023. 5. 21. 이전 1 2 3 4 5 6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