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교미술2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8. 쌍림열반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8.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열반에 든 부처님의 모습과 슬퍼하는 제자들의 모습이다. 초전법문 이후 21일 동안 일곱 곳에서 아홉차례 화엄경을 설했다. 하지만 중생들은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여, 중생들의 이해 능력에 맞게 대기설법(對機說法)을 하였다. 그리고 아함경을 8년, 방등경을 8년, 반야경을 21년, 법화경을 8년, 총 45년동안 법문을 설하고 열반에 들었다. 열반을 앞둔 부처는 "나는 이미 모든 법을 설했고, 비밀은 없으며, 간신히 움직이는 낡은 수레와 갔다.. 2021. 7. 27.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4. 유성출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4.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29세가 되던 음력 2월 8일, 태자는 출자를 결심하고 말을 타고 야반에 도주한다. 싯다르타 태자는 수행자를 만난 후, 출가를 꿈꾸게 되었다. 하지만 정반왕은 허락하지 않았다. 정반왕은 왕손을 얻기 전까지는 허락할 수 없다하여, 태자는 이웃 나라 공주인 야쇼다라 공주와 결혼한다. 태자는 곧 아들을 얻게되었다. 출가를 하고싶었던 태자는 아들의 이름을 장애라를 뜻을 가진 '라훌라'라고 지었다. 정반왕은 아내와 자식까지 얻게된 태자가 마음을 .. 2021.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