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처님이야기4

[위키] 라훌라(Rahula, 羅睺羅)란?! 붓다의 아들 라훌라(羅睺羅, Rāhula) 싯다르타가 출가하기 얼마 전 아들이 태어났다. 부처는 출가를 생각하고 있었기에, 출가를 위한 또 하나의 방해거리가가 생겼다고 생각하여 라훌라(장애)라고 외쳤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의 이름이 라훌라가 되었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고 고국에 돌아왔을 때, 어머니 야쇼다라는 아버지에게 가서 왕위계승의 허가를 받아오라 한다. 이에 라훌라는 붓다에게 왕위를 요청하였지만, 붓다는 라훌라에게 출가를 권유하였고, 라훌라는 그 길로 출가에 나섰다. 결국 싯다르타의 사촌 마하나마가 왕위를 이었다고 한다. 라훌라의 수행은 쉽지 않았지만, 열심히 하였고, 결국 아라한이 되었다.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4. 유성출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 2023. 5. 27.
[위키] 칸타카(Kanthaka)와 찬타카(Chantaka)란?! 싯다르타의 말과 마부에 대해서 칸타카(Kanthaka)와 찬타카(Chantaka) 칸타카는 고타마 싯다르타가 즐겨 탔던 애마로, 순백의 백마였다고 한다. 그리고 칸타카를 몰았던 마부는 찬타카 혹은 찬나(Channa)라고 한다. 싯다르타가 가비라성(카필라바스투) 밖에서 늙음, 병듬, 죽음과 수행자를 보았을 때에도 마차를 끌었다. 또한 야밤에 싯다르타가 출타할 때에도 칸타카를 타고 나섰다. 싯다르타를 아노마 강 가에 내려주고 해여졌는데, 칸타카는 슬픔에 죽음을 맞이하지만, 다시 태어나 붓다의 법문에 참석해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위키피디아, 옥스퍼드 백과사전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3. 사문유관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 2023. 5. 27.
[위키] 야쇼다라(Yashodara) 공주?!, 붓다의 아내 야쇼다라(Yasodharā) 고타마 싯다르타의 아내이다. 출신에 대한 여러 설이 있지만 훌륭한 집안의 딸이었다고 한다. 또한 오천축 제일의 미녀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웠다고 한다. 싯다르타가 17살, 야쇼다라가 10살일 때 둘은 혼인을 했다. 불본행집경에 따르면, 야쇼다라는 전생에 싯다르타의 전생 수메다 브라만을 만났고, 꽃을 구하던 수메다 브라만에게 다음 생에 자신과 결혼해 주면 자신이 가지고 있던 꽃을 팔겠다고 약속했다고 한다. 싯다르타가 29살이 되던 해, 둘 사이에서 라훌라 라는 아들이 태어났다. 그럼에도 싯다르타는 라훌라가 태어난 뒤인 7일차에 출가를 감행했다. 아들인 라훌라의 출산에 대한 이야기는 출가 후 고행을 했던 6년간 잉태를 한 뒤에 7년차에 낳았다는 설이 있는데, 이 설에 따르면 야쇼.. 2023. 5. 26.
팔상도(八相圖)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도솔래의상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2.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5.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6.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7. 녹원전법상 (鹿野轉法相) 8.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1.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도솔천에 있던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인 호명보살이 마야부인의 옆구리로 들어가는 장면이다. 인간 세상에 여러 번 내려갔던 금단천자(金團天子)는 호명보살에게 가비라성 석가족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태어날 것을 권했다. 이에 호명보살은 마야부인의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갔다. 낮잠을 자던 마야부인은 여섯 이빨을 가진 코끼리가 금으로 이빨을 단장하고 허공을 날아와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꾼다. 마야부인은 신기한 꿈의 이야기를 정반왕에게 이.. 2021. 7. 27.
반응형